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N | stages | result |
---|---|---|
5 | [2, 1, 2, 6, 2, 4, 3, 3] | [3,4,2,1,5] |
4 | [4,4,4,4,4] | [4,1,2,3] |
def solution(N, stages):
answer = []
fail = []
for i in range(1,N+1) :
if len([stage for stage in stages if stage >= i]) == 0 :
fail.append(0)
else :
fail.append(len([stage for stage in stages if stage == i])/len([stage for stage in stages if stage >= i]))
indexList = list(enumerate(fail))
indexList.sort(key = lambda x :(-x[1],x[0]))
for i in range(N) :
answer.append(zipList[i][0]+1)
return answer
첫 번째 for
문을 통해 각 stage를 통과한 사람 수와 해당 stage에 머문 사람들의 수를 카운트하여 실패율을 계산한 fail
배열에 넣었다. 그리고 해당 실패율에 인덱스와 짝지어주기 위해 enumerate()
를 사용하였고, 해당 리스트를 실패율 순으로 내림차순, 그리고 같을 경우 인덱스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해당 정렬된 인덱스를 answer
배열에 넣어 답을 구했다. 여기서 포인트는 해당 문제 같은 경우 시간 초과에 굉장히 민감했는데 처음에 리스트 표현식인 [stage for stage in stages if stage >= i]
대신 list(filter(lambda x : x >= i,stages))
처럼 filter()
와 lambda
식을 이용했는데, 그때는 테스트 케이스 중 3가지에서 시간 초과가 나서 통과하지 못했다. 찾아보니 map()
,filter()
,lambda
식 보다는 리스트 표현식이 더 빠르다고 해서 가급적 리스트 표현식을 더 쓰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denominator = len(stages)
for stage in range(1, N+1):
if denominator != 0:
count = stages.count(stage)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denominator -= count
else:
result[stage] = 0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포인트는 결과 배열을 쓰지않고, 딕셔너리로 사용한 것과 스테이지를 증가할때마다 현재 스테이지에 머물러있는 사람의 수를 뺸 것이다. 그러다가 스테이지에 도달한 사람이 0명이면 실패율 0을 넣고 아니면 실패율을 계산하여 result
딕셔너리에 현재 스테이지를 key
값으로 넣고 실패율을 value
로 넣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result
의 key
값을 value
순으로 정렬하고 내림차순으로 하기 위해 reverse
옵션으로 뒤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