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Next 14 환경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개발하던 중 Next.js의 환경 변수 관련 문제로 애먹었던 적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환경 변수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환경 변수는 주로 노출되면 안 되는 민감 정보 및 API 엔드포인트나 API 키 등 빌드 환경별로 달라져야 하는 정보에 쓰인다. 실무에서는 대부분 실행 환경이 구분되고, 외부에 노출되면 민감할 수 있는 정보가 많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CSR 방식의 애플리케이션과 다르게 Next.js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에 걸쳐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Next.js에서는 환경변수를 관리하는 것이 조금 더 복잡한 경우가 있다. Next.js에서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코드를 구분한다.
그래서 흔히 쓰는 방식으로 아래와 같이 환경 변수를 선언해보자.
// .env
API_URL=http://localhost:3000/api/
위와 같이 선언된 환경 변수는 process.env.API_URL
을 통해 서버 환경에서 불러올 때는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호출되지만,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불러올 때는 정상적으로 불러와지지 않는다. 만약 브라우저에서 노출된다면, 해당 환경변수를 포함한 컴포넌트가 서버에서 생성된 서버 컴포넌트이기 때문이다. 즉, 서버 환경에서 불러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Next에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도 환경 변수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NEXT_PUBLIC_
접두사를 붙여 환경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그래서 적절하게 판단하여 클라이언트로 노출되어도 괜찮은 정보는 NEXT_PUBLIC_
접두사를 붙여 선언하고, 민감한 정보의 경우, 해당 접두사 없이 선언하는 것이 좋다.
Next에서 환경 변수는 dotenv를 이용하여, 즉 .env
와 같은 파일에 환경변수를 위치할 수도 있고, next.config.js
에 환경 변수를 선언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next.config.js
는 버전 관리(ex. Github)에 포함되기 때문에 민감정보를 선언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또 .env
파일의 경우, .env.development
, .env.production
와 같이 환경별로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next.config.js
에 선언하는 경우에는 함수나 조건문을 이용하여 동적인 값을 할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환경별로 .env.[NODE_ENV]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환경 변수를 로드하는 순서를 Next 문서에서는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 있다.
process.env
.env.$(NODE_ENV).local
.env.local
(NODE_ENV
가 test
일때는 체크하지 않는다.).env.$(NODE_ENV)
.env
위 순서로 환경 변수를 로드하고 앞 순서에서 환경 변수를 찾았다면 해당 변수를 로드하고 탐색을 중지한다. 이렇게 Next에서는 기본적으로 NODE_ENV
와 연동하여 환경 변수를 읽기 때문에, development, int, stage, production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추어 환경 파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별개에 작업이 필요하다.
환경 변수에는 환경 변수가 설정되는 시점에 따라 빌드타임 환경 변수와 런타임 환경 변수가 존재한다.
먼저 빌드타임 환경 변수부터 알아보면, 빌드타임 환경 변수는 애플리케이션이 컴파일되고 빌드되는 동안 설정되고 주로 배포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빌드타임 환경 변수는 빌드 과정 중에 상수로 코드에 내장되고, 빌드가 완료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 만약 빌드 타임 환경 변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빌드하고 배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빌드 시점에 값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런타임에 동적으로 값을 조회할 필요가 없어 성능상으로는 런타임 환경 변수보다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요청마다 변수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주로 버전 정보와 같이 환경별로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빌드타임 환경 변수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반면 런타임 환경 변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설정되며,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또는 실행 중에 변경될 수 있다. 런타임 중에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이미지가 여러 환경에서 다른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화된 환경에서 유용하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env
, next.config.js
)들은 모두 빌드타임에 환경 변수를 값으로 치환한다. NEXT_PUBLIC_
이 붙은 환경 변수 또한 빌드타임에 클라이언트 코드에 포함된다. Next 공식 문서에서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참고: 앱이 빌드된 후에는 이러한 환경 변수의 변경에 더 이상 응답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Heroku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한 환경에서 빌드된 슬러그를 다른 환경으로 승격하거나 단일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여 여러 환경에 배포하는 경우 모든 NEXTPUBLIC 변수는 빌드 시점에 평가된 값으로 고정되므로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이러한 값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next 문서에는 기본적으로 런타임에서 환경 값에 액세스해야 하는 경우, 자체 API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먼저, 런타임에서 환경 변수를 주입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빌드타임에 환경 변수를 주입하다 보면 환경마다 빌드가 되고, 환경마다 따로 배포되어야 한다. 환경이 세 개라면 빌드를 세 번 거쳐야 하는 것이다. 또한 혹시라도 환경 변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라면, 빌드를 다시 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빌드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프로젝트의 경우 이는 생산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런타임에 환경 변수를 주입하면 빌드는 한 번만 이루어지면 된다. 하나의 빌드 결과물을 가지고 배포 시 런타임 환경변수를 주입하여 여러 환경에 배포할 수 있게 된다. 또 환경 변수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다시 빌드할 필요 없이 환경 변수만 변경하여 배포만 다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런타임에 환경 변수를 주입하는 것이 효율성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나의 사례에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빌드와 배포 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케이스에 따라 이러한 프로세스는 각각 다르지만, 전체적인 컨셉으로 다른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rgo CD에서는 Git 저장소 코드 베이스와 helm 저장소의 설정 파일을 기준으로 배포하는데, helm의 각 환경 values.yaml
파일에 아래와 같이 환경 변수를 선언해 줄 수 있다.
# values-development.yaml
# 애플리케이션 설정
app:
name: myapp
replicas: 2
image:
repository: myregistry.azurecr.io/myapp
tag: dev-v1.0.0
pullPolicy: Always
# 환경 변수
env:
NEXT_PUBLIC_API_URL: 'https://api-dev.example.com'
API_KEY: eklslkjglkjglk2grlk
# ...
위와 같이 환경별 values.yaml
파일에 환경 변수를 설정해 주면 빌드 이미지를 가지고 배포할 시 배포 환경의 values.yaml
을 참조하여 환경 변수가 주입된다.
다만, Next.js에서 빌드 시점에 서버 환경에서 페이지를 생성하는 SSG(Static Site Generation)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빌드타임에 환경 변수가 주입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ISR(Incremental Static Regeneration)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한데, 재생성 시점에 런타임 환경변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ISR이 설정된 페이지를 보자.
export const revalidate = 3600; // 1시간마다 페이지 재생성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 {
const apiUrl = process.env.API_URL;
const data = await fetch(`${apiUrl}/some-data`);
// ...
}
페이지가 재생성될 때 빌드 시점의 환경변수 값을 사용하게 되므로, 런타임에 주입한 환경변수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면 동적 라우트나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배포 프로세스에 런타임 변수를 주입하는 방법은 SSG나 ISR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주입된 환경 변수를 손쉽게 사용하기 위해 next-runtime-env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해당 패키지는 “Build once, deploy many”라는 철학을 Next.js에서도 실현하고자 만들어진 패키지로 런타임에 환경변수를 동적으로 주입한다.
이 패키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html <head>
에 <PublicEnvScript/>
를 추가해야 한다. PublicEnvScript
컴포넌트는 NEXT_PUBLIC_
접두사가 붙은 모든 환경 변수를 브라우저에 자동으로 노출하는 역할을 한다.
// app/layout.tsx
import { PublicEnvScript } from 'next-runtime-env';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 children }) {
return (
<html lang="en">
<head>
<PublicEnvScript />
</head>
<body>{children}</body>
</html>
);
}
추가한 이후에는 자유롭게 주입한 환경 변수를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import { env } from 'next-runtime-env';
const API_URL = env('NEXT_PUBLIC_API_URL');
Next.js에서 환경 변수를 관리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나뉜 Next.js의 특성상 빌드타임 환경 변수 주입에 대한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런타임 환경 변수 주입과 활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여러 가지 환경과 조건을 고려하여 런타임 환경 변수 주입이 문제가 없다면, 이를 통해 비효율적인 빌드 과정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빌드 및 배포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혹시 이 글에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