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트는 ES6이전의 자바스크립트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클래스를 기반으로 하는 상속은 ES6이후에서만 지원하고,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하여 상속을 구현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상속의 구현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클래스 기반의 전통적인 상속 방식을 모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클래스 개념 없이 객체의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function create_object(o){
function F() {}
F.prototype = o;
return new F();
}
위 코드는 더글라스 크락포드가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상속하는 방법으로 권장한 코드이다. 이 코드를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의 상속 개념을 이해한 것과 다름 없다. create_object()
함수는 o
라는 객체 인자를 받는 함수이고 함수 내부의 코드를 보면 F
라는 이름의 빈 함수 객체를 만든다. 그리고 F
함수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인자로 들어온 o
라는 객체를 연결한다. 그리고 F
를 생성자로 하는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 반환한다. 이렇게 반환된 객체는 부모 프로퍼티에 접근 할 수 있고 자신의 프로퍼티를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하다. 위의 create_object()
함수는 매번 정의할 필요 없이 Object.create()
함수로 사용할 수 있다.
var player = {
name : "mount",
getName : function() {
return this.name;
},
setName : function(name) {
this.name = name;
}
};
function create_object(o){
function F() {}
F.prototype = o;
return new F();
}
var mount = create_object(player);
mount.setName("mount");
console.log(mount.getName()); // (출력 값) mount
사실 클래스 기반의 상속도 프로토타입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프로토타입 기반에서는 객체 리터럴로 생성했던 것을 클래스 방식에서는 클래스 역할을 하는 함수로 상속을 구현한다.
function Player(name){
this.name = name;
};
Player.prototype.setName = function(value){
this.name = value;
};
Player.prototype.getName = 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Midfielder(name) {
}
var mount = new Player("mount");
Midfielder.prototype = mount;
var kante = new Midfielder("kante");
kante.setName("kante");
console.log(kante.getName());
위 코드에서는 Midfielder
함수를 만들어서 해당 함수의 프로토타입이 Player
생성자 함수의 인스턴스인 mount
를 참조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Midfielder
생성자 함수로 만든 kante
라는 인스턴스는 mount
를 부모 객체로 참조하게 된다. 그럼 mount
객체는 Person
생성자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Person
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접근 가능하고, mount
를 부모 프로토타입 객체로 취급하는 kante
또한 Person.prototype
에 접근이 가능하다. 이렇게 프로토 타입 체인이 형성된 것이다. 하지만 위 코드에는 문제가 있는데, kante
인스턴스 생성 시에 Person
생성자는 호출되지 않는다. 처음 생성할 때 new Midfielder("kante")
와 같이 인자를 전달했지만, 이것을 받아서 반영하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Midfielder
생성자 함수는 비어있는 함수 이기 때문이다. kante
라는 객체는 결국 빈 객체가 되고 kante.setName()
메서드 실행 이후에야 프로퍼티가 생성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Midfielder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function Midfielder(name) {
Player.apply(this, arguments);
}
위 코드처럼 수정하면 this
를 통해 Midfielder
생성자 함수로 생성된 빈 객체가 전달되고 Player()
생성자 함수를 실행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대해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실행 시킬 수 있다. 현재 경우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 인스턴스가 독립적이지 못하다. 현재 자식 클래스의 prototype이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prototype에 메서드를 추가하려고 하면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독립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두 클래스의 프로토타입 사이에 중개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function Player(name){
this.name = name;
};
Function.prototype.method = function(name, func) {
this.prototype[name] = func;
}
Player.method("setName",function(value){
this.name = value;
});
Player.method("getName",function(){
return this.name;
});
function Midfielder(name) {
}
function F() {};
F.prototype = Player.prototype;
Midfielder.prototype = new F();
Midfielder.prototype.constructor = Midfielder;
Midfielder.super = Player.prototype;
var mount = new Midfielder();
mount.setName("mount");
console.log(mount.getName());
이 방식은 프로토타입을 통한 상속 구현과 매우 유사하다. 빈 함수 객체 F()
를 쓰기 때문이다. 빈 함수 F()
를 사용하며 Player
의 인스턴스와 Midfielder
의 인스턴스가 독립적이게 만들었다.
캡슐화는 OOP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캡슐화는 관련된 여러 정보를 하나의 틀에 담는 것이다. 관련된 변수와 메서드 등을 클래스라는 틀안에 담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이러한 정보들을 공개하느냐 아니면 비공개로 유지하느냐에 따라 정보 은닉의 개념이 적용되는지에 여부가 달려있다. 다른 언어에서도 public
이나 private
키워드를 통해 어떤 키워드로 변수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해당 변수를 노출시킬지 말지 결정한다.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이러한 키워드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다른 방식을 통해 정보 은닉을 실현할 수 있다.
var Player = function(arg) {
var name = arg ? arg : "example";
this.getName = function() {
return name;
}
this.setName = function() {
name = arg;
}
};
var mount = new Player();
console.log(mount.getName()); // (출력 값) example
mount.setName("mount");
console.log(mount.getName()); // (출력 값) mount
console.log(mount.name); // (출력 값) undefined
위 코드를 보면 name
은 private 멤버로 선언했고, getName()
과 setName()
함수는 public 메서드로 선언되었다. this
객체의 프로퍼티로 선언하면 외부에서 new
를 통해 생성하여 접근 가능하지만 var
로 선언된 멤버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public한 메서드가 클로저역할을 하면서 getName()
이나 setName()
에서는 name
변수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게 자바스크립트의 기본적인 정보 은닉이다.
var Player = function(arg) {
var name = arg ? arg : "example";
return {
getName : function() {
return name
},
setName : function() {
name = arg;
}
};
}
var mount = new Player();
console.log(mount.getName()); // (출력 값) example
위 코드의 방식은 Player()
함수를 호출하면서 객체를 리턴받는다. 리턴받는 객체에는 Player()
함수의 private 멤버에 접근 할 수 있는 메서드들이 담겨있다. 반환 받는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함을 통해서 private 멤버에 접근할 수 있다. 실제로 자주 쓰는 구조이고,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접근하는 private 멤버가 객체나 배열일 경우 얕은 복사로 참조만 반환 하기 때문에 쉽게 변경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객체가 아닌 함수를 반환하는 방식도 있다.
var Player = function(arg) {
var name = arg ? arg : "example";
var Func = function () {}
Func.prototype = {
getName : function() {
return name
},
setName : function() {
name = arg;
}
}
return Func;
}();
var mount = new Player();
console.log(mount.getName()); // (출력 값) example
위와 같이 즉시 실행 함수를 사용하면 반환되는 Func()
함수가 클로저가 되고, name
프로퍼티는 자유 변수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name
변수에는 접근할 수 없다. (자바의 게터, 세터 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될 거 같다.) 위에 나타난 정보은닉을 위한 여러가지 패턴을 잘 숙지하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INSIDE JAVASCRIPT (한빛미디어, 송형주,고현준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