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다양한 형태

image-20200409103446799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함수 외에 다른 함수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콜백함수

함수 표현식에서 함수 이름은 Optional한 부분이고, 이름이 붙지않은 함수를 익명 함수라고 하는데, 익명 함수의 대표적인 쓰임은 콜백 함수이다. 콜백 함수는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어떤 시점에서 호출되는 함수를 말한다. 개발자가 콜백 함수를 등록해놓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콜백 함수를 호출하도록 설정해놓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window.onload = function() {
	alert("callback function!");
};

위 코드는 window.onload라는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했는데, 웹 페이지가 다 로딩되고 load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뒤의 함수가 콜백 함수로 작동되는 코드이다. 코드를 적용하여 크롬에서 테스트 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image-20200416094359278


즉시 실행 함수

함수를 정의하면서 바로 실행하는 함수가 즉시 실행 함수(Immediate function)이다. 즉시 실행 함수는 함수 리터럴을 괄호로 둘러싸고 함수 이름은 optional하다. 그리고 함수가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를 추가해주면 괄호 안의 함수에 인자를 바로 전달하고 즉시 실행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하지만 즉시 실행 함수의 경우 재 호출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최초에 한번만 실행하는 초기화 함수로 쓰일 수 있다. 라이브러리 코드가 처음 로드되어 초기화 될 때, 즉시 실행 함수 패턴이 많이 쓰인다.

(function (name) {
	console.log('Immediate function! -> + name');
})('foo');
// (출력 값) Immediate fucntion! -> foo

내부 함수

내부 함수는 말 그대로 함수 내부에 또 정의되어 있는 함수를 뜻한다. 내부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능을 배가 시켜주는 클로저를 생성하거나 외부에서의 접근을 막고 독립적인 함수를 구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내부 함수는 자신을 둘러싼 외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 가능하다. 스코프 체이닝과 관련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함수 스코프 밖에서는 함수 스코프 안에 선언된 모든 변수나 함수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function player() {
	var basicSalary = 100;
	var bonus = 50;
	
	function topPlayer() {
		var bonus = 250;
		console.log(basicSalary); // (출력 값) 100 
		console.log(bonus); // (출력 값) 250
	}
	
	topPlayer();
}
player();
topPlayer(); // topPlayer is not defined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스코프 체이닝으로 함수 내부에서는 함수 밖에 선언된 변수나 함수의 접근이 가능하다. 함수 외부에서 내부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부모 함수에서 내부 함수를 외부로 리턴하면 외부에서도 내부 함수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function player() {
	var salary = 200;
	
	var topPlayer = function() {
		console.log(salary);
	}
	
	return topPlayer;
}

var inner = player();
inner(); // (출력 값) 200

위 코드는 player()함수를 호출하고, 그 결과로 반환된 inner()함수를 호출한다. 여기서 player()함수는 이미 실행이 끝난 함수이고, 이렇게 실행이 끝난 함수 스코프의 변수를 참조하는 inner()와 같은 함수를 클로저라고 한다. 클로저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루도록 하겠다.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

위에 내부 함수의 예시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함수에서 함수 자체를 리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함수를 호출하면서 다른 함수로 바꾸거나, 자기 자신을 재 정의하는 것도 구현이 가능하다.

var self = function () {
	console.log("first");
	return function () {
		console.log("second");
	}
}
self = self(); // (출력 값) first
self(); // (출력 값) second

처음 self() 함수를 실행했을 때는 ‘first’가 출력이 되고, self라는 함수 변수에 리턴하는 익명 함수가 담기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self()함수를 실행하면 ‘second’가 출력된다. 첫번째 self()함수 호출 후에 self()함수 변수의 함수가 원래 함수에서 새로운 함수로 변경된 것이다.


출처

  1. INSIDE JAVASCRIPT (한빛미디어, 송형주,고현준 지음)
  2. 인프런 ‘Javascipt 핵심 개념 알아보기 - JS Flow’

Written by@[Ykss]
고이게 두지 않고 흘려보내는 개발자가 되자.

GitHubInstagramLinkedIn